백색의 명암

     

       징크화이트 (4)

     

      징크화이트의 장점과 단점

     

     징크화이트는 그 태생부터 연백의 대체제로 탄생한 면이 크기 때문에, 징크화이트의 장점은 필연적으로 연백의 단점에 대비되어 부각될 수 밖에 없습니다. 가장 큰 장점은 역시 연백의 치명적인 단점인 독성이 없어 중독의 위험이 없다는 것과 황을 포함한 대기나 다른 안료의 영향으로 흑변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것만으로도 당시에는 획기적인 백색안료였음에 틀림없습니다. 게다가 연백만큼 불투명하지도 않고 무겁지도 않아 다른 색들과 어우러져 섬세한 뉘앙스를 표현하는데에 매우 적합한 화이트입니다. 초기에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차가운 색조와 투명함은 도리어 다른 색들의 다양한 얼굴들을 편견없이 일깨워 캔버스 위에 구현해주는, 당시로는 획기적인 질감을 징크화이트에 불어넣어준 산파 역할을 함 셈이지요.  그 밖에도 산화아연은 자외선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여러종류의 코팅제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안료로서의 징크화이트도 이런 성질 덕에 태양광에 노출되어도 거의 영구적으로 색조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어 야외에 쓰이는 도료나 벽화 등에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반면 징크화이트의 치명적인 단점은 앞에서 박수근의 빨래터의 예에서 봤듯이 시간이 지나면 균열과 박락의 위험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건조 후에 필름의 유연성이 현저히 떨어져 깨지기 쉬운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작품 보존의 측면에 있어서는 아주 취약합니다. 오랜 세월동안 캔버스의 밑칠 작업용으로 화이트를 사용했는데, 징크화이트의 출현 이후 자연스레 밑칠용 화이트는 연백에서 징크화이트로 변화되었습니다. 그래서, 징크화이트가 유화로 생산되고 급격히 퍼진 1890년대나 1900년대 초반에 그려진 유화작품은 3,40년이 지난 후 눈에 띄는 갈라짐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런 균열은 특히 징크화이트가 밑칠용으로 사용되거나, 설경처럼 과도하게 사용된 부분에서 심각하게 나타난 반면, 적당히 혼색에 쓰인 부분에서는 전혀 갈라짐이 나타나지 않아 이후 징크화이트의 용도를 뚜렷하게 규정해주는 부분도 있습니다. 

     

     생산 초기에 징크화이트는 자외선을 흡수해서 표면의 노화를 막는 산화아연의 성질 때문에 산업용 도료로도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오랜 시간이 지나지 않아 균열의 문제점이 부각된 후에 용도가 조금 바뀌게 됩니다. 고대에 의료용 연고로도 쓰였듯이, 산화아연은 자외선 흡수 이외에도 부식을 방지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런 성질로 인해 이후에는 직접 안료로 쓰이기보다는, 방부제 용도로 안료의 첨가제로 사용되기 시작합니다.

     

     한편, 징크화이트는 오일과 섞였을 때, 다른 색상에 비해 건조시간이 비교적 오래걸립니다. 이 단점은  한편으로 작품의 하이라이트를 표현할 때 수정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승화될 수도 있지만, 이 늦은 건조시간은 징크화이트의 치명적 단점인 갈라짐의 문제와 직접 연결되기도 합니다. 

     

     밑칠된 징크화이트는 건조시간이 많이 늦어서 속까지 완전히 마르기 전에 겉에만 마른 채로 그 위에 작업을 하기가 쉽습니다. 매번 그런 것은 아니지만, 그렇게 작업을 하게 되면 위에 칠해진 다른 색상보다 밑칠된 징크화이트가 늦게 건조되는 경우가 생기는데, 그런 경우에 밑칠된  표면이 수축이 되면서 점차 그림의 표면이 갈라지는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갈라짐에는 이런 건조시간의 문제보다 더 근원적인 이유가 있긴 합니다.

     

     징크화이트의 재료인 산화아연 가루는 공기중에 노출되었을 때,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여 끈적끈적하게 변화되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런 '끈끈한' 산화아연을 오일과 섞어서 유화물감을 만들면 습기가 오일에 갇히게 되는데, 이 습기가 시간이 지나면서 마르게 되면 표면이 수축하게 되고, 그 결과로 균열과 박락에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러니까 이런 균열을 막기 위해서는 산화아연을 제조할 때 더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습기를 완전히 제거하면 되는데 일반적인 안료제조업자들은 그렇게 까지는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아마도 비용의 문제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섬아연석

     

     참고로 안료로 쓰이는 산화아연은 앞에서 징크화이트를 유화로 처음 생산한 르클레어가 발견한 방식으로 제조됩니다. 일반적으로 프랑스식 (French Process)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아연제조에 많이 사용되는 섬아연석으로 50%정도의 금속아연으로 농축시킨 후 구워서 산화아연으로 만드는 방식입니다. 후에 미국에서 직접 섬아연석을 구워 산화아연을 만드는 방법이 개발되는데, 미국 방식과 대비해서 간접방식 (Indirect Process) 이라고도 불리워집니다. 습기가 산화아연에 남아있는 것은 아마 이 과정에서 완전히 건조되지 않았기 때문이겠지요. 시간이 많이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징크화이트에 갈라짐의 문제가 남아있는 것을 보면 생산과정이 과거와 크게 변하지는 않은 것 같기도 합니다.

     

     

    중국풍의 정물 (Still-life with Chinoiseries, 1906)

     

     

     2013년 벨기에의 앤트워프(요즘에는 '안트베르펜' 이라고도 부르는 것 같습니다) 왕립 박물관에서는 벨기에 화가인 제임스 앤서(James Sidney Edouard, Baron Ensor, 1860~1949)의 작품에 대한 연구를 위해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그 프로젝트에서 발행한 보고서 중에 연백과 징크화이트에 대한 연구가 있는데, 여기에서도 여태까지 언급한 징크의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앤서는 당대의 다른화가처럼 연백과 징크를 같이 쓴 화가로 알려져 있는데, 성분 분석을 위해 X레이 형광분석기가 사용되었습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위의 그림은 원래상태의 작품이고,  아래의 그림은 형광분석기로 촬영했을 때의 사진입니다. 형광분석기로 비추었을 때, 징크화이트가 쓰인 부분은 녹청색으로 나타납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이는 인물 좌우의 청록색 배경이 밑칠로 징크화이트가 쓰인 부분입니다. 그림에서 옷을 표현한 붉은 부분과 오른쪽의 붉은 라인 안쪽은 연백을 사용한 부분인데, 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징크화이트가 쓰였습니다. 인물을 자세히 뜯어보면 얼굴과 다리 부분에 갈라짐이 많은 것이 발견되는데, 아래 그림에서 확인해보면 이 부분은 밑칠로 연백이 아닌 징크가 쓰였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징크화이트가 갈라짐의 원인이라는 것을 입증해주는 자료이지요.

     

     

    중국풍의 정물 (Still-life with Chinoiseries, 1906)

     

     


     이 작품은 앤서가 화이트를 어떻게 사용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줍니다. 위의 그림과 같은 이유로 배경 전반에 징크화이트가 쓰인 것을 알 수 있는데, 사람의 피부 조금 다르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이 앤서의 색채 사용을 짐작할 수 있는지점이기도 한대요, 사람의 피부에는 전통적인 방식인 연백에 핑크와 블루톤을 섞어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결국 앤서는 바탕칠에는 당시에 값이 쌌던 징크를 사용했고, 디테일을 표현할 때는 표현력이 좋은 연백을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오펠리아 (John Everett Millais 1851~52)

     

     위의 그림은 영국화가 밀래이의 '오펠리아의 죽음' 이라는 작품입니다. 정교하고 빽빽한 사실적 묘사로 유명한 이 화가는 햄릿의 오펠리아의 죽음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물을 받은 욕조에 모델을 몇시간씩이나 누워있게 한 것으로 유명하기도 합니다. 이 그림에도 징크화이트로 밑칠한 부분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이 그림에는 균열이 생긴 부분이 존재하지 않아 징크화이트의 균열이 과연 어떻게 진행되는지, 과연 일방적으로 균열이 생긴다고 단정지을 수 있는지 논란이 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 작품 하나의 예외로 반대 급부를 모두 설명할 수 없는 일이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런 경우는 징크화이트 단독의 문제로 치부될 수 없는 부분이 있는데, 그것을 사용한 작가의 테크닉이나 다른 물감이나 재료들과의 상호작용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결국 다른 모든 미술작품에서 그러하듯, 작품에서 생겨나는 화학작용을 현재의 모든 과학적 방법으로 설명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시간이 더 지나면 어떻게 변화될지 모르기에 그저 가능성을 열어둔 채로 그저 바라보는 수밖에는 없는 것 같습니다. 

     

     그저 우리가 징크화이트로 지금 할 수 있는 일은 이 질좋은 화이트를 과도한 밑칠로 허비하지 않으면서, 그 투명한 프리즘에 투과된 섬세한 빛의 스펙트럼을 향기롭게 즐기는 것 뿐인 듯 합니다.

     

     

      참고사이트

    http://www.naturalpigments.com/art-supply-education/zinc-white-oil-paint-colorhttp://www.kmska.be/en/Onderzoek/Ensor/ERP_LoodwitZinkwit.htmlhttp://www.webexhibits.org/pigments/indiv/history/zincwhite.html


    'white > zinc whi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이니즈 화이트  (0) 2015.06.05
    철학자의 양털  (0) 2015.05.30
    냉정과 열정사이  (0) 2015.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