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14건

    철학자의 양털

     

        징크화이트 (2)

     

        철학자의 양털

     

      화이트의 용도는 매우 다양하고, 그래서 다른 색깔보다 그 사용량도 월등합니다. 유독 화이트만 큰 용량으로 생산되는 것으로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살펴봤듯이, 그런 화이트의 독보적 위치를 오랜 시간동안 연백이 차지했었습니다. 치명적인 독성에도 불구하고 연백이 뿜어내는 그 마법같은 효과는 쉽게 떨칠 수 없는 매력으로 다가왔겠지요. 그러나 치명적 독이 든 성배인 연백은 기본적으로 불투명한 백색이기 때문에 다양한 표현에 분명 한계도 있었을겁니다.

     

     가령 이른 새벽 산속 호숫가에 스며드는 잔잔한 안개를 표현하려고 하면, 사실 여기에 적합한 색은 흰색밖에 없을텐데 불투명한 연백은 그 미묘한 뉘앙스를 섬세하게 그려낼 수가 없었겠지요. 또 여성들의 투명한 베일이 화면 가득히 넘실대는 드레스나 창문너머로 스며드는 눈부신 빛의 질감을 표현하는 것 역시 연백이 그 역할을 무리없이 감당하긴 했지만, 고도의 세심함과 기술이 요구되었을 겁니다.

     

     때마침 당시 유행하던 인상주의의 여파로 표현의 대상이 사물에서 ''으로 옮겨가는 시대의 흐름과도 무관하진 않을 것 같은데요, 아틀리에에서만 머물던 화가들이 점차 캔버스를 들고 야외로 나가게 되면서 빛의 변화와 색조를 섬세하게 표현하는데 필요한 화이트에 대한 요구 역시 징크화이트의 출현에 한몫을 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 상황은 밑에서 언급하겠지만, 필요에 의해 발명이 되었다긴 보다는, 필요로 인해 '발견'이 된 것에 가깝긴 하지만요.

     

      징크화이트의 징크(zinc)는 금속 아연을 말합니다. 다시 말하면 아연에서 만들어낸 화이트입니다. 징크화이트의 역사는 아주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아연의 역사는 꽤 오래되었습니다. 고대에서는 아연을 주로 구리와 합금한 황동으로 사용하였는데, 로마시대에는 벌써 구리와 아연의 합금인 황동제조법이 알려져 있어서 그것으로 주화와 무기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동양에서도 중국에서 아연을 주화 제조 등에 썼는데, 중세 이후 유럽에서는 아연을 직접 생산하지는 않다가,  1605년부터 동인도 회사를 통해 필요한 아연을 중국에서 수입해서 썼다고 합니다.

     

     아연이란 단어를 좀 살펴보면 한자로 亞鉛으로 표기하는데, 버금 아(), 납 연(), 즉 말하자면 아연과 비슷하다는 말이지요. 실제 금속 아연의 용도와는 별개로 하더라도, 납으로 만든 아연인 연백의 뒤를 징크화이트가 이었으니, 적어도 화이트에서만은 아주 고대부터 아연의 운명을 예견하고 결정지어준 역사에 남을 예언자적인 작명이지 않을 수가 없군요.  

     

    산화아연

     

     

     아연을 백색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산화아연입니다. 사실 산화아연 분말로 화이트를 만드니, 징크 화이트의 모든 것이 실은 산화아연으로 부터 출발하는 셈입니다. 산화아연은 말 그대로 아연이 산소와 결합하여 만들어진 물질인데, 흰색 분말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고대 인도와 그리스에서 의료용 연고로 쓰이기도 했다는 산화아연은 중세 유럽에서는 '철학자의 양털', '아연의 꽃' 등으로 불리웠는데, 그 배경이 조금 독특합니다.

     

    산화아연의 나노이미지

     

     

     중세 유럽에서는 아연을 생산하지 않았기 때문에 산화아연은 꽤나 신기한 존재였던 듯 합니다. 이 신기한 물질을 다루는 일은 당연스럽게 당시의 과학자이자 철학자와 주술사의 역할을 두루 감당하던 연금술사들의 몫이었습니다. 산화아연은 주로 황동을 제조할 때 생긴 부산물로 얻을 수 있었는데, 아연증기를 공기 중에서 태웠을 때 만들어지는 이 흰색 가루는 연금술사들에게 꽤나 매력적이었나 봅니다. 차가운 금속에서 태어난 빛나는 흰색 가루를 연금술사들은 그들의 의식에 쓰곤 하였는데, 그 모습이 양털 같았는지 산화아연을 '철학자의 양털'로 불렀다고 하는군요. 여기서 철학자는 말할 것도 없이 연금술사입니다. 한편 아연증기를 태울 때 화덕 위로 피어오르는 연기에서  '아연의 꽃'이라는 이름이 나왔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최근까지 산화아연을 '아연화(亞鉛華)', '아연의 꽃'이라 불렀다고 하니 동서양을 막론하고 산화아연은 꽤나 신기한 존재였던 듯 합니다.

     

    홍아연석

     

     또다른 이름으로 연기를 의미하는 페르시아어 'dud' 에서 파생되어 'tutty(터티)' 라고도 불리웠는데, 이 단어는 중세시대에 산화아연을 유럽에 처음 소개해 준 아랍 사람들의 용어에서 파생되었다고 하니 당시의 아랍 사람들이 산화아연을 보며 느낀 이미지도 중세의 유럽사람들의 그것과 크게 다르진 않았나 봅니다. 산화아연을 아연광석에서 직접 산출해 내는 시기에는 블러드 화이트 (blood white) 라는 이름도 있었습니다. 색이 붉었던 '홍아연석'에서 분리했기 때문에 그런 이름이 생겼다고도 합니다. 산화아연이 안료로 쓰인 역사는 그리 길지 않지만, 산화아연의 역사는 그리 짧지 않았음을 명칭의 다양함이 대변해주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참고사이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44&contents_id=7690&leafId=44

     

     

    'white > zinc whi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색의 명암  (1) 2015.06.15
    차이니즈 화이트  (0) 2015.06.05
    냉정과 열정사이  (0) 2015.05.23

    냉정과 열정사이

     

        징크화이트 (1)

     

       빨래터의 위작논란

     

     

     가짜 그림, 즉 위작에 대한 논란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닙니다. 위작을 생산하고 유통시키는 일은 분명 돈을 벌기 위해 범죄를 저지르는 것임에 분명하지만, 개인적으로 위작의 탄생과정을 잠시 머릿속으로 떠올리다보면 가짜와 진짜 사이에서 아슬아슬하게 줄타기하는 '기술자 아닌 예술가'의 모습이 종종 떠오르곤 합니다. 

     

     가짜에 진짜의 숨결을 불어넣어주기 위해 예술가와 사기꾼 사이를 수없이 오고갔을 작가의 정체성 혼란과 그 낙차 큰 진폭 가운데서 탄생했을 섬세한 감수성과 상상력을 잠시 떠올리노라면, 겉으로 보여지는 화려한 진짜를 방불케하는 테크닉은 오히려 가벼워보이기만 할 때도 있습니다. 사실 그 위작 생산자는 닳고 닳은 사기꾼일 수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뭐 그런 생각이 먼저 들곤 합니다.^^;;

     

     

     한편 위작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입장에서는 작가의 필치나 스타일 이외에도 사용된 재료를 분석하기도 하는데요. 정교한 위작은 원본의 재료를 너끈하게 재연해내겠지만, 그게 생각만큼 쉽지가 않기도 한 것 같습니다.

     

     

      근래에 우리나라에서도 세간을 시끄럽게 했던 위작논란이 있었습니다.  지난 2007  박수근의 ‘빨래터’라는 작품의 위작 논란이 그것인데요, 위작논란은 여러 집단의 이해관계가 얽혀서 여러가지 복잡한 양상을 띄게 되기도 하는데, 빨래터 사건도 그런 맥락과 결을 같이한 듯 합니다.

     

    빨래터. 박수근 작

     

     

     

     서울 옥션에서 경매가  45 2천에 팔린 뒤, 미술 잡지인 <아트레이드>에서 작품의 진위논란을 제기하여 결국 법정 공방으로까지 확대된 사건이었는데, 초기에 위작 논란이 커지자 서울옥션에서 한국미술품감정평가원에 감정을 의뢰하였고, 치열한 공방 끝에 결국 법정에서 ‘진품으로 추정된다’는 결론으로 막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2차 감정 끝에 심사위원 20명 중 19명이 진품으로 감정하여 결국 2009 ‘진품으로 추정된다’는 법원의 판결로 마감하게 된 이 사건에서 눈여겨 볼 만한 대목이 하나 있습니다. 위작을 주장한 국제미술과학연구소의 최명윤 교수의 위작 근거인데, 이제 다뤄볼 징크화이트가 여기에 등장합니다. 최명윤 교수가 당시 주장했던 근거를 잠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박수근 기법 특성상 모든 유채작품들의 바탕을 탁하게 표현을 합니다. 또한 탁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징크화이트가 항상 반드시 들어갑니다.  문제의 빨래터 작의 바탕은 전혀 탁하지가 않으며 오히려 밝습니다.  또한 작품에는 박수근 특유의 마무리단계의 스모크 기법이 전혀 존재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문제의 빨래터 작의 바탕에 칠해진 티타늄화이트의 특성상  빛의 현상을 표현하기에 매우 부적합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징크화이트의 경우 20년 이상 되면 자연적으로 균열과 박락이 생깁니다. 54년 빨래터 작을 보면 알겠지만 아낙네의 치맛자락에 박락 자국이 있어, 그 박락 자국의 밑바탕에 회초록이 있음을 볼 수가 있습니다. 징크화이트 특성상 50년세월 동안 아무리 보관을 잘해도 머리카락 같은 균열과 박락이 생겨야 정상입니다. 50년이 지난 지금 문제의 빨래터 작은 변질과  균열이나 박락이 전혀 없습니다. 왜냐하면 티타늄화이트로 바탕이 구성칠 되어있기 때문이지요. 이건 70~80년대 만들어진 위작이고  존릭스 씨가 55년대 초반에 받았다는건 거짓말입니다.

     

     위작 논란과는 별도로 이 짧은 내용 속에는 이제 이곳에서 다루어질 징크화이트의 탄생과 발전, 또 그 한계에 대한 모든 내용이 집약되어 있다고 해도 사실 과언이 아닙니다. 미술은 예술가의 고뇌로 점철된 창조로 이루어져왔지만, 그것을 지탱해온 물질적 토대 중 하나는 분명 재료와 그 바탕의 과학임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어찌보면 과학이 앞서서 이룬 그 부산물의 달콤한 열매가 예술의 창조로 이어진 경우가 허다하니 위의 말은 그 선후관계 뒤바뀐 것 같기도 합니다만...

     

     어쨌건 주장의 포인트는 박수근의 표현 기법을 미루어 볼 때, 분명 박수근은 징크 화이트로 밑칠을 했을텐데,  문제의 작품에서는 징크가 아닌 티타늄으로 했을 가능성이 많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에 티타늄이 소개된 시기는 1960년대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징크로 칠했을 가능성이 높기도 합니다. 또 징크를 썼다는 증거로 작품에 균열과 박락이 없고, 배경과 마무리가 다른 작품과 달리 선명하게 보인다는 것을 내세웠습니다. 

     

    이 양반이 최명윤 교수입니다.

     

     

     현재는 아주 오래전부터 유화를 해오신 분들이 아니면 주로 수성인 제소로 밑칠을 하지만, 제소가 상용화되기 전까지는 유화용 화이트로 밑칠을 했습니다. 그리고, 티타늄보다는 징크를 밑칠용으로 많이 썼습니다. 물론 징크가 나오기 전에는 유일한 화이트였던 연백으로 했고, 징크가 출현하면서 점차 징크로 변해간 것이구요.

     

     현재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화이트는 징크와 티타늄인데, 징크는 혼색용으로, 티타늄은 흰색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오랜 세월 화이트의 대명사였던,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연백이 과학과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점차 새로운 백색에 자리를 점차 뺏기게 되고, 현재는 간신히 생산만 하고 있는 상태로 전락하게 되었는데요. 그 연백의 위상에 처음 도전장을 내민 백색이 바로 징크 화이트입니다.

     

     참고사이트

     

    http://blog.daum.net/dununorg/15195077

     

     

     

     

    'white > zinc whi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색의 명암  (1) 2015.06.15
    차이니즈 화이트  (0) 2015.06.05
    철학자의 양털  (0) 2015.05.30